폴리올레핀系 기능성 섬유시장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섬협회 작성일07-06-11 13:34 조회2,438회관련링크
본문
Chemical Fibers International
세계 폴리올레핀系 섬유시장은 소비라는 측면에서 보면 지난 ‘06년도에는 전년대비 큰 성장을 보였으나, ’04년과 비교하면 회복수준이 다소 낮은 편이다. 폴리올레핀系 원사 및 제품은 일반 섬유제품의 환경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최근까지 원료의 전환(Polyester와의 경쟁)이라는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어 불안감을 보이고 있다.
- PP와 PET와의 경쟁심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경량“이 특징인 폴리올레핀系 섬유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PP와 PSF가 사용되는 여러 분야에서 Polyester의 경쟁력 우위가 두드러지고 있다. 아직까지 PP에서 Polyester로 설비를 전환한 분야는 적으나, 이같은 사실은 점진적으로 하나의 경향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특히 원사뿐만 아니라 포장용 필름 등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Polyester가 대응할 수 없는 분야가 아직 많은 상황이다.
- 부직포 분야의 확대
‘06년도 실적이 아직 집계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하거나 일부 분야에서 소폭의 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성장국면은 부직포에 한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부직포 분야에서 PP의 사용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주로 코스트절감을 위한 경량제품분야(박지 fleece류 등)에 한정되고 있다. 다만, 이같은 경향으로 고급설비로의 전환 및 신규투자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부직포, 토목, 건축, 지오텍스타일, 포장, 농업분야는 물론이며, 의료, 위생 분야의 수요도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05년 기준 동 시장의 성장률은 5~8% 수준으로 추정된다.
- 신제품의 개발
지난 몇 년간 섬유 및 원사부문과 관련된 다양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졌다. 특히 새로운 관점에서 폴리올레핀의 섬유구조를 개발한 것이 특징이다. 다층의 woven tape를 강하게 압착하고 가열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기계적 특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는 PP를 flat die에 통과시켜 압출, 생산한 compact sheet보다도 매우 우수하다. 기본적으로 PP tape의 이축 연신도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동 복합재료는 인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超경량 및 超인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반가공품으로 생산하기 위해 동 재료에 추가적인 열성형 가공을 거치게 된다.
동 제품의 최종수요업체는 다양하므로 최종 수요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완벽히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컨셉과 함께 새로운 제품개발력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 합섬製 인조잔디시장에서의 기회
합섬製 인조잔디(turf)분야에서의 또 다른 발전측면을 보면, 위에서 언급한 새로운 컨셉의 도입은 쉽게 반영되기 힘들다는 점이다.
일례로 스포츠선수의 경우 환경변화에 크게 저항하는 경향이 있으며, 인조잔디에서의 경기참가도 이같은 급변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급진전은 나타나고 있으며, 젊은 선수일수록 이에 대한 적응이 빠르기 때문에 향후 수 십년내에 최고수준의 경기가 인조잔디에서 개최될 수 있을 전망이다.
기술적으로 발전 진행상황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며, 현시점에서 보면 최초의 인조잔디와 차세대 제품과 비교하면 전혀 차원이 다르기 때문이다. 환경적 측면을 비롯하여 다양한 이점이 존재하는데, 유럽 남부지역에서의 용수보호는 대규모의 자원절약으로 이어지며, 천연잔디에 사용되는 다량의 비료사용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이밖에 인조잔디를 설치한 축구경기장에서는 기상상태와는 관계없이 년중 언제나 경기를 개최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적인 공간확보 측면에서도 커다란 이점으로 작용한다. 위에서 언급한 장점들은 향후 수십년간 인조잔디가 동 분야에서 최고의 성공작으로 평가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기존분야는 정체를 보이면서 SF, tape, 모노필라멘트, BCF 등 멀티필라멘트 분야는 전년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카펫시장은 품질과 디자인면에서 많은 노력이 있었으나, 트렌드와 패션측면에 더욱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